Generic selectors
Exact matches only
Search in title
Search in content
Search in posts
Search in pages

ARITA

The font representing the corporate identity of Amorepacific and its determination to realize the value of sharing.

아모레퍼시픽의 기업 아이덴티티를 담은 폰트이자
나눔의 가치를 실천하는 폰트

아리따 글꼴
Typeface Arita

품격있는 말과 글, 진정한 아름다움입니다. 아모레퍼시픽은 아리따를 멋지음으로써 아름다운 말씨와 글씨를 지니기 시작했습니다. The elegance of any language is truly bea utiful. By designing Arita, Amorepacific established its own beautiful “language” through the creation of the Arita family.

Type It

Introduce

단아하고 지적이며, 건강한 아름다움. 바로 아모레퍼시픽이 추구하는 아름다움입니다. 아리따는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운 말씨로써, 아름다움을 세상에 전파하는 홀씨가 되어 세상을 향해 퍼져 나가고 있습니다. 아리따는 고딕 계열의 한글 서체 '아리따 돋움'과 명조 계열의 한글 서체 '아리따 부리', 영문 글꼴인 'Arita Sans', 한자 글꼴 '아리따 흑체'가 있습니다. 디자이너 안상수 님과 각 언어별 글꼴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완성된 아리따는 아모레퍼시픽의 기업 아이덴티티를 상징하는 서체일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널리 보급해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는 도구로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Beauty that is elegant, intelligent and healthy — this is the kind of beauty that Amorepacific aspires to create. Arita, as the expression of beauty sought by Amorepacific, is a small spark that will help spread beauty around the world. The “Arita” consists of four fonts: Arita Dotum & Arita Sans & Arita Buri & Arita heiti. Designed by Ahn, Sang-Soo with various specialists, The “Arita” presents Amorepacific’s determination to realize the “value of sharing” by letting the public use it free of charge while also showing the company’s typographic identity.

arita introduce image

Philosophy

아리따는 2004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개별 글꼴이 완성될 때마다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무료로 사용하게 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은 아리따가 기업 전용 글꼴의 역할뿐 아니라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문화 나눔의 가치가 널리 공유되길 바랍니다.

The development of Arita began in 2004, and individual fonts have been released to the public and distributed free of charge whenever each font is completed. Amorepacific hopes that Arita not only serve as corporate fonts, but also become widely known to the public and promote the value of sharing.

arita philosophy image 1 arita philosophy image 2

Family

아리따는 한글, 로마자, 한자, 총 세 개의 언어, 열여덟 종의 글꼴가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글꼴 모양에 따라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글꼴마다 굵기를 다르게 디자인했습니다. 다양한 목적에 맞도록 가장 얇은 ‘헤어라인’에서 ‘볼드'까지, 그 범위를 넓혀나갔습니다.

Arita consists of three languages — Korean, the Latin alphabet, and Chinese characters — 18 fonts in total. We developed various weights because different fonts have different usages depending on their shapes. We extended weights from the thinnest, “hairLine” to “Bold” for a variety of purpose.

arita family image 1 arita family image 2 arita family image 3

Naming

‘아리따’라는 이름은 공자孔子가 애독하고 강조한 300여 수의 시詩가 실린 《시경詩經》의 첫 번째 시 ‘관저關雎’의 한 구절 ‘요조숙녀窈窕淑女’ 에서 비롯했습니다. 아리따는 단아하고 지적인 멋을 풍기는 요조숙녀의 인상을 글꼴에 담았습니다.

Arita’s naming originates from “窈窕淑女”(a modest, virtuous, young lady) a word from the first piece “Guan ju” in the Classic of Poetry which is comprised of more than 300 poems that Confucius himself loved to read. Arita has the impression of such o young lady who is elegant and intelligent.

arita naming image 1 arita naming image 2

Impression

아리따는 아모레퍼시픽이 추구하는 ‘건강한 아름다움’을 모티브로 단아하고 지적인 멋이 풍기는 아시아의 현대적인 여성상을 담아낸 글꼴입니다. 아리따의 네 가지 글꼴은 남매 글꼴답게 닮았으면서도 저마다의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돋움은 ‘정직하고 올바른’, 산스는 ‘강인하고 부드러운’, 부리는 ‘우아하고 단아한’, 흑체는 ‘섬세하고 단단한’ 표정의 글꼴입니다.

Arita features a modern Asian female images, featuring graceful and intellectual beauty through the motif of Amorepacific’s ‘healthy beauty’. the four typefaces of Arita resemble one another, just like siblings, but each one has its own personality. Datum has an honesty and uplight look; Sans is soft and strong; Buri is elegant and graceful; and heiti is delicate and robust.

arita impression image 1 arita impression image 2

Exploration

아리따는 본문용 글꼴의 미덕인 ‘보편성’과 기업용 글꼴의 필요성인 ‘개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여러 차례 논의했습니다. 아리따 프로젝트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씨앗’입니다. 아리따를 멋지었던 열여섯 해는 ‘아리따’라는 고운 글씨의 씨앗을 심어 꽃피우고 널리 나누는 여정이었습니다. 글꼴을 만드는 과정에서의 수많은 고찰은 현대 한글꼴 연구의 중요한 단서가 되었고, 참여 디자이너는 글꼴 전문 디자이너로 성장해 또 다른 나눔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For Arita, we discussed on several occasions about finding a balance between “universality,” the virtues of body fonts, and “individuality,” which is the need for corporate fonts. The most common word in the Arita project is “seed”. the 16 years that designed Arita were a journey to plant the seeds of refining writing, to blossom and spread them all over. Many consideration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rita typeface have become an essential clue to modern Hangeul typeface studies, and participating designers have grown to become professional type designers, giving back to society through their talents.

arita exploration imag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