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들어낸 쓰임을 다하고 버려지는 재료들로 새로운 아름다움을 만들면 어떨까? 플라스틱과 유리공병이, 파지와 폐기물들이 우연과 의도가 섞인 오브제로 다시 태어나는 과정은 우리주변의 자원이 얼마나 다채롭게 변화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부산에 이어 서울까지 이어진 두 번의 전시를 통해 우리가 발견한 새로운 아름다움과 그 과정에서 찾아낸 지속가능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This article has been translated by an AI.
What if we created new beauty with the materials we created and discarded? The process of plastic and glass bottles, waste paper, and waste being reborn as objects with a mixture of coincidence and intention shows how diverse the resources around us can change. Through two exhibitions spanning from Busan to Seoul, we hope to convey the story of the new beauty we discovered and the sustainability we discovered in the process.
Background
여러분은 ‘지속 가능’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것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가장 먼저 떠오른 건 매주 반복되는 분리수거였습니다. 배달 음식을 시킬 때 일부러 일회용품을 받지 않거나,
장을 볼 때 일회용 비닐 대신 장바구니를 챙긴 일도 떠올랐습니다.
환경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리필 제품을 쓰거나, 일반 샴푸 대신 고체 비누를 사용하는 등 더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계실 겁니다. 이처럼 ‘지속 가능’이라는 단어는 이제
꽤 많은 이들의 일상에 스며들어 있지만, 동시에 여전히 어딘가 어렵고 부담스러운 말처럼 느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마음속으로는 꼭 필요한 일이라는 걸 알지만, 막상 행동으로 옮기려면 쉽지 않고, 스스로 주저하게 되는 순간도 많았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지속 가능’을 정해진 형식이나
올바름의 잣대처럼 받아들여 온 건 아닐까요? 혹은 나와는 조금 거리가 있는 이야기, 누군가의 실천을 응원만 하게 되는 그런 주제로 남겨두었던 건지도 모릅니다.
What comes to your mind first when you hear ‘sustainable’?
The first thing that came to mind was recycling repeatedly every week. I also thought of not intentionally receiving disposable
items when ordering food for delivery or bringing a shopping basket instead of disposable plastic when shopping.
If you’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you’ll probably be more active in using refillable products or solid soap instead of
regular shampoo. As such, the word “sustainable” is now permeated into the daily lives of quite a few people, but at the same
time, it’s true that it still feels like something difficult and burdensome to say.
I know it’s essential in my heart, but it’s not easy to put it into action, and there have been many moments when I hesitate
on my own. Perhaps we have accepted “sustainable” as a fixed form or standard of correctness? Or maybe we have left it as a
story that is a little far from me, a topic that only cheers for someone’s practice.
이번 전시는 바로 그런 고민에서부터 출발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속 가능의 틀 바깥에서, “이렇게 생각해도 괜찮지 않을까?”, “이런 방식도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지속 가능’을 조금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기로 했습니다.
‘지속 가능’을 주제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실천들,
그리고 그 안에 담긴 특별한 의미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과정 속에서 우리는 ‘지속 가능’이라는 게 몇 가지 정해진 방식만을
말하는 게 아니라는 걸 자연스럽게 느끼게 되죠. 결국 중요한 건 각자의 삶과 환경 안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실천하고, 그것을
꾸준히 이어가는 데 있습니다. 그렇게 할 때 ‘지속 가능’이라는 말도 누군가가 정한 답이 아니라, 더 넓고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This exhibition started with that kind of concern.
Outside of the framework of sustainability that we know, we decided to look at sustainability with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asking the question, “Isn’t it okay to think like this?” and
“Isn’t it possible this way?”
Listening to people who have been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under the theme of sustainability, you will
discover practices that started with ideas that you never expected, and special meanings contained in them.
In the process, we naturally feel that sustainability is not just a set number of ways. After all, what is
important is to practice in your own way and continue it steadily in your own life and environment. In doing
so, I believe that the word “sustainable” is not an answer that anyone has decided on, but can expand in
a wider variety of directions.
이번 전시에서 소개하는 방식이 다른 방법보다 더 낫다고 말하려는 건 아닙니다. 이번 전시 역시 정답이나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기보다,
각자의 방식으로 가치를 해석하고 지속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더 주목했습니다. 지속 가능은 단지 실천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태도로
바라보고 이어가느냐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니까요.
사실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지속 가능’을 실천하는 방법은 훨씬 더 다양합니다. 같은 방향을 향해 가더라도, 실천의 모습은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나는 어떻게 지속 가능성을 실천할 수 있을까?”, “이런 것도 지속 가능성이 될 수 있을까?”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본 적이 있다면, 이번 전시가 그 고민에 대한 작은 힌트가 되어줄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일상 속에서도 작지만 의미
있는 실천 하나쯤은 시작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I’m not trying to say that the method I’m introducing in this exhibition is better than other methods. This
exhibition also paid more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and continuing values in their own
way, rather than presenting correct answers or set directions. Sustainability is not just a matter of practice,
but also a story of how one views and continues.
In fact, there are many more ways to practice sustainability than we thought. This is because even if we go
in the same direction, the form of practice can vary from person to person. However, if you have ever asked
yourself questions such as, “How can I practice sustainability?” or, “Can this be sustainable?” I hope this
exhibition will be a small hint about your concern. And I hop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start at least
one small but meaningful practice in your daily life.
유휴 장비를 활용한 오브제
reunited
화장품의 제조와 포장을 위해 사용되던 이 장비들은, 이제 그 쓰임을 벗어나 새로운 기능과 형태를 지닌 오브제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지속가능성을 감각적인 시선으로 풀어낸 LESS PLASTIC, WE ARE FANTASTIC 캠페인의 모션 그래픽 영상과 함께,
다시 쓰이는 것들의 아름다움의 경험해 보기 바랍니다.
Once used in the manufacturing and packaging of cosmetics, these machines have been reimagined as objects with
new forms and functions.Alongside motion graphics from the LESS PLASTIC, WE ARE FANTASTIC campaign, we invite
you to experience the quiet beauty of things being used again.
1/plinth studio 손동현Donghyun Son
AMOREPACIFIC
진현조Hyunjo Jin
Re:Shaped #1 Glass
Exploration into the Reusability of Sustainable Materials
Plate A 소재를 활용한 오브제
An object made using Plate A, a recycled plastic sheet
Re:Shaped #2 Paper
Exploration into the Reusability of Sustainable Materials
우리는 일회성으로 한 번의 쓰임을 다하고 버려지는 현실에 있었고, 자연을 위해 우리가 만들어내 온 것들을 어떻게 하면 오래 곁에 두고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디자인 연구 과제가 시작되었습니다.
Glass has often existed as a single-use material, discarded after one cycle of use. This project began with a question of how we might keep what we have made close at hand and in use for longer, as a way of caring for nature.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소재 Plate A의 활용 방안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확장하여 일상 생활 및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이 느껴질 수 있는 소품과 오브제로써 그 가치와 쓰임을 전달하고자 한 프로젝트입니다.
This project expands the potential of Plate A, an upcycled plastic material, by exploring its use in everyday objects and lifestyle pieces to convey its value and relevance in daily life.
지류는 친환경 소재이지만 상자로 제작시 많은 양의 자투리 종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자사에서 양산되면서 버려지는 파지들의 재사용 가능성과 친환경 제작 방식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습니다.
Although paperboard is an eco-friendly material, a large amount of waste paper is generated when making boxes. We designed the project based on research on the reusability of discarded paper and eco-friendly production methods.
박선민Sunmin Park
TRU 박준성Junseong Park
Left Right studio 유유리Yuri Yoo
AMOREPACIFIC
김윤미Yunmi Kim김지원Jiwon Kim
AMOREPACIFIC
신노아Noah Shin
AMOREPACIFIC
김윤미Yunmi Kim김지원Jiwon Kim채승원Seungwon Chae
Re:Shaped #1 Glass
Exploration into the Reusability of Sustainable Materials
박선민Sunmin Park
AMOREPACIFIC
김윤미Yunmi Kim김지원Jiwon Kim
Plate A 소재를 활용한 오브제
An object made using Plate A, a recycled plastic sheet
TRU 박준성Junseong Park
AMOREPACIFIC
신노아Noah Shin
Re:Shaped #2 Paper
Exploration into the Reusability of Sustainable Materials
이 벤치에 앉아 자연을 바라볼 때 우리는 인공적인 것이 자연과 하나 될 수 있음을, 그리고 그 안에서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When we sit on this bench and look at nature, we realize that the man-made can become one with nature, and that we can find new aesthetic values in it.
From Tea leaves to Stone : The Cycle of Discarded Green Tea
AMOREPACIFIC
구혜원Hyewon Koo김소영Soyoung Kim김태은Taeeun Kim
PUZZLE WOOD Object 1
AMOREPACIFIC
양은지Eunji Yang
A New Regenerative Cycle
AMOREPACIFIC
성유진Yujin Sung황주영Juyeong Hwang채승원Seungwon Chae
Again, We Play
폐녹차의 순환, 버려진 잎에서 스톤 오브제로
From Tea leaves to Stone : The Cycle of Discarded Green Tea
PUZZLE WOOD Object 1
A New Regenerative Cycle
Plate A로 제작된 젠가와 체스는 업사이클링 소재를 통해 ‘진정한 지속 가능성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하는 디자인 오브제입니다. 오래도록 사랑받아 온 유희의 형식을 통해, 우리는 사라지지 않는 물성의 진정한 순환을 상상합니다.
Crafted from Plate A, this reinterpretation of Jenga and chess questions what true sustainability means through upcycled materials. Through the classic forms of play, we imagine a more meaningful cycle for materials that never truly disappear.
매년 대량으로 소비되는 녹차 원료 뒤에는 활용되지 못한 채 폐기되는 부산물이 존재한다. 이 프로젝트는 녹차의 본고장 제주에서 얻은 귀한 자원을 순환 가능한 아름다움의 형태로 되살리고자 한 시도입니다.
A sustainability project that visually reinterprets discarded green tea waste through the philosophy of returning beauty to nature.
퍼즐우드 오브제 트레이는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에서 나온 플라스틱을 포함한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었으며, 원재료의 독특한 패턴이 특징입니다.
The Puzzlewood Object Tray is made from recycled plastic, including plastic from used Amorepacific cosmetic containers, featuring unique patterns from the original materials.
버려진 종이가 펄프와 성장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순환을 시작하는 방식을 탐구한 실험 프로젝트 입니다.
An experimental project exploring how discarded paper begins a new cycle of renewal through pulp and growth.
헤라 백화점 유니폼이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경 됨에 따라 발생한 폐 유니폼을 수거하여 굿즈 제작을 진행하였다. 유니폼의 소재와
특성을 살려 디자인하고, 최대한 유니폼만을 사용하여 또 다른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아모레퍼시픽의
다양한 브랜드—설화수, 라네즈, 헤라, AP, 오설록—에서 수거한 폐 유니폼을 활용해 업사이클링 프로젝트를 확장하였다.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구형 디자인의 유니폼, 노후된 유니폼, 샘플용으로 제작되었던 유니폼 등을 수거하고, 각 패브릭의 소재적 특성과
브랜드의 개성을 살려 일상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업사이클링 방석’을 제작하였다.
We collected waste uniforms from HERA Department Store’s new uniform design and proceeded to make the goods.
The design utilizes the material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forms and uses only uniforms as much as possible
for upcycling to minimize further environmental pollution. Season 2 expands the initiative by collecting and
reusing discarded uniforms from awider range of Amorepacific brands including Sulwhasoo, Laneige, HERA,AP,
and OSULLOC. Outdated designs, aged garments, and unused samples were gathered and transformed into practical
upcycled cushions, each crafted to reflec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and the identity of
the brand from which they c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