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챌린지는 ‘뉴 뷰티(New Beauty)’ 비즈니스를 주도할 글로벌 인재 발굴을 위한 대학생 마케팅 공모전입니다. 2000년대 초반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작해 15회에 이르도록 성황리에 진행되었으며,
올해부터는 국내를 넘어 미국과 일본의 대학생까지 참가 대상을 확대해 새롭게 개최되는 글로벌 마케팅 공모전으로 국내 행사에서 더 나아가 글로벌의 의미를 키비주얼에 담아 진행하였습니다.
The Amorepacific Brand Challenge is a university marketing competition designed to discover global talent capable of leading the “New Beauty” business.
It began in the early 2000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as successfully been held 15 times.
Starting this year, the competition has expanded beyond Korea to include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ransforming into a truly global marketing contest.
Reflecting this evolution, the key visual embodies the concept of moving beyond a domestic event to emphasize its new global identity.
AI 를 통해 생성한 이미지
이번 프로젝트는 국적과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는 글로벌 공모전으로,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고 어우러지는 ‘다양성의 가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이 추구하는 ‘뉴 뷰티(New Beauty)’, 즉 각자가 있는 그대로 아름답다는 가치을 중심에 두었으며,
회사명인 ‘아모레(Amore)’가 지닌 *사랑(Love)*의 의미를 확장해 담았습니다. 이 세 가지 핵심 가치 다양성, 아름다움, 사랑(아모레) 를 하나의 형태로 연결하기 위해 프로젝트의 키비주얼을 ‘다양한 하트의 모습’으로 설정했습니다.
AI를 활용해 수많은 하트 이미지를 생성하며, 각각의 개성과 질감이 드러나는 형태들을 탐구했습니다. 어떤 하트는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고, 또 다른 하트는 금속이나 유리처럼 차가운 질감을 지닙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재질과 형태의 하트들이 함께 어우러져 각자의 개성이 모여 하나의 조화를 이루는, ‘뉴 뷰티’의 본질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글로벌 인재들이 모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성장하는 공모전이 되었으면 했습니다.
This project was created as a global competition that brings together people of different nationalities and backgrounds, aiming to visually express the value of diversity, where differences are respected and harmoniously connected.
At its core lies Amorepacific’s philosophy of “New Beauty” the belief that everyone is beautiful just as they are. We also sought to expand upon the meaning of “Amore,” the brand’s name, which stands for love.
To connect these three key values — diversity, beauty, and love (Amore) — into a single form, we defined the project’s key visual as “hearts in diverse forms.” Using AI-generated imagery, we explored countless variations of hearts, each revealing its own unique texture and personality.
Some hearts are covered in soft fur, while others take on the cool, sleek surfaces of metal or glass. Together, these hearts embody the harmony of individuality a visual expression of the very essence of New Beauty.
AMORE ‘HEART’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AI로 생성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다섯 가지 상징적인 하트 키비주얼을 제작했습니다. 기본 빨간 하트를 대표 이미지로 설정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했으며, 나머지 하트들은 각각 고유한 개성과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스티커를 붙이며 소통하는 하트, 여러 각도에서 빛을 반사하며 반짝이는 하트, 부드러운 털로 채워져 보송보송하고 따뜻한 인상을 주는 하트 등 각기 다른 질감과 감성을 지닌 형태로 개발했습니다.
In this project, we created five symbolic heart key visuals based on AI-generated imagery. The classic red heart serves as the primary image and is applied across various brand applications, while the remaining hearts each embody their own distinct personality and meaning.
For instance, one heart symbolizes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as if people from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are coming together to place stickers on it. Another heart reflects light from multiple angles, shimmering with movement, while others are filled with soft, fluffy textures that evoke warmth and playfulness.
다섯 개의 하트가 끊임없이 변주되는 모션 그래픽을 함께 제작하여
서로 다른 개성과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뉴 뷰티’의 감성을 시각적으로 완성했습니다.
We also developed motion graphics in which these five hearts continuously transform,
visually expressing the essence of New Beauty a world where diverse forms of beauty and individuality coexist.
개발된 다양한 키비주얼을 활용하여 sns 홍보용 컨텐츠를 제작했습니다.
We utilized the developed visual assets to create social media promotional content.
공모전 지원 홈페이지도 함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며 공모전의 일관된 아이덴티티를 느낄 수 있게 진행했습니다.
We designed the competition website to maintain the same visual identity, ensuring a consistent brand experience across all touchpoints.
8월 27일 공모전 최종 프레젠테이션이 열리는 곳도 함께 시팅을 진행하였습니다.
We also designed and set up the venue for the final presentation, which was held on August 27.
GOODS BOX
브랜드 챌린지 행사에 참여하는 20대 초반의 젊은 각국의 젊은 친구들이 좋아할만한 것들을 가득 넣어 굿즈 박스를 구성했습니다.
브랜드 챌린지 비주얼을 이용해 만든 다양한 스티커, 포토프레임, 포토카드, 키 비주얼을 모티프로 만든 키링과 라네즈 신상품 립밤까지 꽉 채웠습니다.
특히 스티커는 다른 곳에 붙여 활용할 수도 있지만 포토카드 프레임에 직접 붙여 완성할 수 있도록 사이즈를 세심하게 조절해 만들었습니다.
다양한 후가공과 홀로그램 슬리브 등을 활용해 화려하게 디자인해 한눈에 보았을 때 예쁘다, 갖고싶다! 라는 마음이 들도록 했습니다.
굿즈를 담은 케이스 역시 가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신경 썼습니다. 행사날, 세계에서 모인 많은 참가자들이 선물로 받은 굿즈를 크로스로 멘 모습을 상상하며 만들었습니다.
굿즈를 담은 케이스 역시 가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신경 썼습니다. 행사날, 세계에서 모인 많은 참가자들이 선물로 받은 굿즈를 크로스로 멘 모습을 상상하며 만들었습니다.
굿즈를 만드는 과정은 도전의 연속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직접 구슬을 사다가 다양한 방식으로 끼워보았습니다. 몇 번의 샘플 과정을 거친 후에는 생산성과 완성도를 위해 전문 제작사와 협력하여 진행했습니다.
워낙 적은 수량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우리가 원했던 끈의 길이나 포장 방법을 구현해 줄 수 있는 협력사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끈을 잘라 묶고, 안에 내용물을 담고, 이를 다시 포장하는 전 과정은 모두 내부에서 진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