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쟝센은 2002년 헤어컬러링 브랜드로 시작해, 스타일링을 중심으로 한 토탈 헤어케어 브랜드로 성장해왔다. 이번 미쟝센 BI 프로젝트는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과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맞춰 변화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브랜드 철학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한 새로운 워드마크와 기존 정체성을 계승하는 새로운 심볼이 있다.
This article has been translated by an AI.
Mise-en-scène began in 2002 as a hair coloring brand and has since grown into a total haircare brand focused on styling.
This new BI (Brand Identity) project was initiated to align the brand with global expans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At the center of the redesign are a new wordmark that visually reconstructs the brand’s philosophy and a new symbol that inherits its core identity.
01. New Wordmark : A Cinematic Identity
Overview
미쟝센의 브랜드명은 ‘mise-en-scène’, 즉 영화에서의 장면 연출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그 의미를 보다 직관적으로 풀어내는 데 집중했다.
워드마크는 브랜드 철학인 “스타일링은 자기 연출”이라는 메시지를 시각 언어로 구체화하며, 브랜드명을 하나의 장면처럼 배열한 시네마틱 구조로 제안한다.
이로써 미쟝센이라는 이름 자체가 브랜드의 세계관을 드러내는 하나의 무대가 된다.
The name “Mise-en-scène” originates from the French term meaning “the staging of a scene” in film.
This project focused on making that concept more intuitively understood.
The new wordmark visualizes the brand message—“styling is self-direction”—by arranging the brand name in a cinematic, scene-like structure.
Through this, the name itself becomes a stage that embodies the brand’s worldview.
Previous Logo
기존의 블랙 스퀘어 로고는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시인성은 확보했지만, 모바일 및 글로벌 플랫폼에서는 크기 축소에 따라 가독성 저하와
시각적 복잡성이 문제로 작용했다. 또한 프랑스어 브랜드명은 글로벌 고객들이 브랜드를 읽을 수 없다는 진입장벽으로 존재했다.
이 같은 복합적인 이유로 BI 전반에 대한 구조적인 리디자인이 필요했고, 그 중심에 단일 언어 구조와 내러티브 중심의 시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설정되었다.
The former black square logo was effective in offline environments but presented legibility and complexity issues when scaled down for mobile or global platforms.
Additionally, the French brand name was a barrier to global consumers who could not easily read or pronounce it.
These challenges demanded a structural redesign of the entire BI system. A key goal was to introduce a single-language structure and a visually narrative-driven system.
새로운 워드마크는 브랜드명에서 영감을 받아 단순한 텍스트 조합이 아닌, 하나의 장면처럼 연출된 시네마틱 구조로 시각화한다.
이는 미쟝센이 추구하는 ‘스타일링은 자기 연출이다’라는 브랜드 철학을 가장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워드마크는 ‘MISE’, ‘en’, ‘SCÈNE’ 세 단어를 세분화하고 조형적으로 정리하여 시선을 유도하고 의미를 강화한다.
The new wordmark draws inspiration from the brand name and is visualized not simply as a text combination, but as a cinematic structure staged like a scene.
This is the most direct expression of the brand philosophy that “styling is self-direction.”
The wordmark separates and refines the words ‘MISE,’ ‘en,’ and ‘SCÈNE’ into visually distinct units, guiding the viewer’s eye and reinforcing the meaning.
세 음절은 서체의 굵기, 크기, 세리프의 극명한 대비로 명확히 구분지었다. ‘MISE’와 ‘SCÈNE’은 굵고 견고한 산세리프 타입으로, 안정감 있는 인상을 주며 브랜드의 시네마틱 무드를 강조한다.
헤어 flick을 시각화한 ‘en’은 스크립트 형태로 조형되어 하나의 글자 볼륨으로 축약되어 있으며 헤어브랜드의 유연함을 나타내고 리듬감을 부여한다. 이 요소는 의도적인 비대칭 정렬을 유도하며,
시선을 자연스럽게 ‘SCÈNE’으로 흐르게 만든다. 이러한 타이포그래피의 분절과 ‘SCÈNE’의 시각적 강조를 통해 사용자는 브랜드명을 직관적으로 해석하며, ‘scene’이라는 영어 단어를 자연스럽게 연상하게 된다.
Each syllable is differentiated through sharp contrast in weight, size, and serif presence. ‘MISE’ and ‘SCÈNE’ are rendered in bold, upright sans-serif
typefaces that convey stability and emphasize a cinematic mood. The ‘en’ is crafted in a script style, metaphorically expressing the flick of styled hair.
Designed as a single glyph, it adds rhythm and flexibility to the overall composition. Its intentional asymmetric alignment naturally draws the eye toward
‘SCÈNE.’ Through the segmentation and visual emphasis on ‘SCÈNE,’ users can intuitively interpret the brand name and naturally associate it with the English word “scene.”
02. Symbol : the legacy black square
새로운 심볼은 미쟝센의 오랜 자산이었던 블랙 스퀘어 로고의 상징성과 감성은 보존하면서, 변화
된 브랜드 방향성과 철학을 시각적으로 반영한다.
The new symbol preserves the symbolic and emotional value of the long-standing black square
logo while visually reflecting the brand’s evolved direction and philosophy.
블랙 스퀘어 로고는 오프라인 매대 환경에서는 강한 집합력을 가졌지만, triple-E 형태의 타이포그래피와 이중언어가 정방형 틀 안에 구성되어 있어 시각적 복잡도가 높았고, 모바일 및 디지털 플랫폼에서는 확장성과 응용성이 제한적이었다.
오랜기간 사용해 온 기존 블랙 스퀘어 로고를 워드마크 형태로 변경하면서, 미쟝센의 레거시 블랙 스퀘어는 심볼로 역할하게 된다.
While the original black square logo had strong shelf presence, it featured a visually dense composition with triple-E
typography and bilingual content within a square frame—limiting its versatility on mobile and digital platforms.
As the logo transitioned to a wordmark form, the legacy black square was redefined as a supporting symbol.
심볼 디자인은 워드마크의 시각 구조를 축약해 반영한 것으로, 특히 ‘SCÈNE’이라는 핵심 단어를 시각 중심으로 배치하여 브랜드의 내러티브와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했다.
워드마크와 병용은 물론, 심볼 단독으로도 충분한 식별력과 의미 전달이 가능하도록 조율되었으며, 실제 적용에서도 높은 유연성과 통일성을 보여준다.
The symbol design is a condensed reflection of the wordmark’s visual structure.
By placing the key word ‘SCÈNE’ at the visual center, it delivers a consistent narrative aligned with the brand’s message.
It is designed to work effectively both alongside the wordmark and as a standalone element, maintaining high legibility and recognizability.
In real-world application, it shows strong adaptability and cohesion across touchpoints.
Brand Concept
미쟝센의 새로운 브랜드 컨셉은 ON STAGE STYLE로 재정의 되었다. 그동안 미쟝센이 무대, stage 위의 아티스트로 보여지고, 아티스트를 동경하는 시선으로 존재했다면, 2025
미쟝센의 무대의 범위는 일상으로 넓어져 삶의 모든 스테이지로 확장된다. 미쟝센이 제공하는 가치는 관찰자적 시점에서 벗어나 고객의 삶의 일부가 되며, 고객 삶의 모든 스테이지에서
언제나 Shine & Glossy 헤어를 완성해주는 헤어케어이자 스타일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헤어 패션 브랜드가 된다.
Mise-en-scène’s new brand concept is redefined as ON STAGE STYLE. Where the brand once positioned itself as an artist on
stage—admired from a distance—it now expands the concept of stage into daily life. In 2025, Mise-en-scène’s “stage” broadens to encompass every moment in life.
No longer a mere observer, the brand becomes a part of customers’ everyday scenes, offering haircare and styling solutions
that help them shine with glossy, stage-ready hair at every life stage.
Typography
미쟝센의 타입 시스템은 영화, 연극, 공연 포스터에서 영감을 받아 브랜드의 대담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시네마틱한 산세리프 서체는 강렬하고 임팩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그에 대비되는 우아하고 세련된 분위기의 서브 타입페이스로 균형을 이룬다.
이 두 서체의 조합은 브랜드 특유의 드라마틱하고 표현력 있는 톤을 효과적으로 담아내며, 모든 디자인 적용 범위에서 일관된 에디토리얼 스타일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The brand’s new typographic system is inspired by film, theater, and performance posters, reinforcing its bold visual identity.
The cinematic sans-serif serves as the primary voice for impactful messaging, balanced by a contrasting sub-typeface that conveys
elegance and sophistication. Together, this dual-typeface system captures the brand’s uniquely expressive, dramatic tone and ensures
consistent editorial-style communication across all design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