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즐우드의 두 번째 ‘몽상식물’ 프로젝트는 제주 신화 속 서천꽃밭에서 영감을 받아, 삼승할망이 지키는 다섯 가지 꽃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가 콜라보레이션 오브제입니다.
전통 설화와 한국적 감성을 디자인 언어로 풀어낸 이번 작업은, 오브제의 섬세한 물성과 이를 담아내는 패키지의 상징적 요소까지 하나의 이야기로 연결하고자 했습니다.
This article has been translated by an AI.
The second ‘Dream Plant’ project by Puzzlewood is a collaborative art object and packaging design, inspired by the Seocheon
Flower Garden from Jeju mythology, reinterpreting the five mystical flowers guarded by Samsin Halmae. This project translates
traditional myth and Korean sentiment into a design language, weaving the delicate materiality of the paper object with the
symbolic elements of its packaging into one coherent narrative.
종이로 정교하게 제작된 오브제는 작은 충격에도 쉽게 구겨질 수 있기에, 이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크 상자 구조를 선택했습니다. 이 구조는 동시에 선물(GIFT)
같은 감성을 담아내어 오브제의 가치를 높여줍니다. 패키지에는 투명 소재를 적용하여 단순한 보호 기능을 넘어, 구매 이후 이동과 진열의 순간까지도 하나의
전시처럼 경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상자 전면에는 몽상식물을 형상화한 심볼 그래픽을 인쇄했고, 여기에 매듭 장식을 더했습니다. 이 매듭은 절이나 서낭당의
나무에 리본을 달며 소망을 비는 한국적 풍습에서 차용한 요소로, 신화적 이야기를 패키지 컨셉과 감성적으로 이어주는 장치가 되었습니다.
Crafted from paper, the object is vulnerable to small impacts, so we chose a cake box structure for protection.
This form not only safeguards the piece but also enhances its perception as a gift, elevating its value. The
package incorporates transparent materials, extending beyond protection to allow the piece to be experienced
as an exhibition, even during transport and display. On the front of the box, we printed a symbol graphic
inspired by the Dream Plant and added a knot decoration. This knot references a Korean custom of tying
ribbons or cloth to temple or village guardian trees as a wish, extending the mythological narrative of
Seocheon into the packaging concept.
수레멸망 꽃
‘모든 것을 멸망시키는 악한 마음의 꽃’.
이 꽃이 피면 사람의 마음에 파괴적 욕망, 악심이 싹터 파멸로 이끕니다. 욕심·파괴·멸망의 에너지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존재. 신화에서는 악인을 처벌하거나, 특정한 상황을 끝장내는 도구로 등장합니다
Su-re-myeol-mang Flower
‘The flower of destructive intent that brings ruin to all.’
When it blooms, it stirs destructive desires and malice in the human heart, leading inevitably to downfall.
It embodies the concentrated energy of greed, destruction, and annihilation. In myth, it appears as a tool
to punish wrongdoers or to bring certain situations to an end.
살살이 꽃 (왼쪽)
‘죽은 것을 다시 살려내는 꽃’
죽은 이를 되살릴 수 있는 환생의 힘을 가진 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순한 부활을 넘어 생명 회복·재생·치유를 상징합니다. 한락궁이 설화에서도 죽은 어머니를 다시 살리는 장면에 등장합니다.
Sal-sal-i Flower (Left)
‘The reviving flower of life.’
This flower restores the dead to life, embodying renewal, healing, and the continuation of existence.
It symbolizes the power of regeneration and the cycle of life, often appearing in stories of reunion and salvation.
울음울을 꽃 (오른쪽)
이름 그대로 “눈물을 불러오는 꽃”
이 꽃을 쓰면 보는 이의 마음에 슬픔이 차올라 눈물을 흘리게 합니다.
인간의 슬픔·비탄·회한을 불러내며, 억눌린 감정을 터뜨리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야기에서는 적을 무력화하거나, 감정의 전환을 일으키는 도구로 쓰입니다.
U-reum-u-reul Flower (Right)
‘The weeping flower that summons tears.’
This flower overwhelms the heart with sorrow, causing uncontrollable weeping. It symbolizes
grief and lamentation, often serving in myths as a force that reveals hidden emotions or disarms opponents through sorrow.
뼈살이 꽃
“뼈까지 다시 살려내는 꽃”
살살이꽃과 비슷하게 부활의 기능이 있지만, 특히 죽은 이의 뼈를 다시 살려 몸과 혼을 회복시키는 강력한 환생의 꽃으로 전해집니다.
단순 생명 회복을 넘어, 완전한 재생·영혼의 복원을 의미합니다.
Ppyeo-sal-i Flower
‘The bone-restoring flower of complete rebirth.’
Unlike the Sal-sal-i Flower, this one revives not only life but also the very bones of the deceased,
ensuring complete restoration of body and soul. It stands for total regeneration, wholeness, and
the triumph of life over death.
웃음웃을 꽃
“웃음을 불러내는 꽃”으로 이 꽃을 가까이하면 누구든 억지로라도 웃음을 터뜨리게 됩니다.
억눌린 슬픔이나 고통을 웃음으로 풀어내는 정서 전환의 힘. 울음울을꽃과 대비되는 성격을 지녀, 감정의 균형을 만들어 주는 장치입니다.
Ut-seum-ut-seul Flower
‘The laughing flower that brings forth joy.’
Its bloom compels laughter and delight, dissolving sorrow and tension.
In myth, it functions as a counterpart to the weeping flower, restoring balance by turning grief into laughter.
화려한 색감을 지닌 오브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패키지는 투명과 블랙을 기반으로 절제된 대비를 주었고
블랙 리본에는 브랜드명과 로고가 담긴 장식띠를 더했습니다.
이 장식띠의 컬러는 오브제의 색감에서 가져와, 신화적 스토리와 디자인 감각을 일관되게 완성했습니다.
To highlight the vivid colors of the object, the packaging was designed with a restrained contrast of transparency and black.
A decorative band carrying the brand name and logo was added to the black ribbon, with its colors drawn from the object itself to consistently link the mythological story and the design sensibility.
매듭은 절이나 서낭당의 나무에 리본을 달며 소망을 비는 한국적 풍습에서 차용한 요소로,
신화적 이야기를 패키지 컨셉과 감성적으로 이어주는 장치가 됩니다.
The knot draws from a Korean custom of tying ribbons on temple or village guardian trees
to make wishes, serving as a device that connects the mythological narrative to the
packaging concept in an emotional way.
몽상식물의 그래픽 디자인
몽상식물의 로고 디자인은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상상의 공간, 서천꽃밭의 꽃을 형상화했습니다. 꽃을 연상시키는 유기적인 곡선과 균형 잡힌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술과
수술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삼았습니다. 또한 새로운 생명을 품는 엄마의 자궁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탄생과 기원의 의미를 담아 삼신할망과 서천꽃밭의 이야기와 맞닿아 있습니다.
Dream Plant Graphic Design
The logo design of Dream Plant visualizes the flowers of Seocheon Garden, an imagined place that exists only in myth.
It is composed of organic curves and balanced symmetry reminiscent of a flower, taking motifs from stamens and pistils.
The form also evokes a mother’s womb that carries new life, embodying the symbolism of birth and origin, and intersecting
with the myth of Samsin Halmae and Seocheon Garden.